국내 의료계의 고질적인 병폐인 '리베이트' 사건이 다시 터졌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이 불법 리베이트 혐의로 국내 유명 의료기기업체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였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은 대학교수 20여 명이 사건에 연루된 것으로 보고, 혐의를 입증하는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우준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압수물을 담을 상자를 들고 수사관들이 잇따라 사무실로 들어갑니다. <br /> <br />비혈관용 스텐트를 만드는 유명 의료기기 회사를 상대로 경찰이 전격적으로 압수수색을 벌였습니다. <br /> <br />불법 리베이트 혐의로 경찰에 고발장이 접수된 지 2달 만입니다. <br /> <br />[경찰 관계자 : 이렇게 하면 안 돼요. 왜 그러냐면, 지금은 수사 중인 단계예요. (찍으시면) 큰일 나요.] <br /> <br />지난 5월, 이 업체 영업사원 출신 김 모 씨는 의료기기법 위반 혐의로 업체를 고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의료기기를 납품하기 위해 수년간 유명 대학병원 교수들에게 불법 리베이트를 제공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고발장에 거론된 병원만 10여 곳, 소속 대학교수도 20명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업체가 집중적으로 관리한 교수 14명은 실명까지 적시됐습니다. <br /> <br />김 씨는 자신이 신입 사원 때부터 다양한 형태로 금품과 향응이 제공됐다며 수십 건의 정황을 구체적으로 진술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 모 씨 / ○○메디칼 영업부 출신 : 교수님들 관리 차원에서 식사라든지 아니면 학회 가서 투어라든지 그 외에 유흥비를 대략 2억5천에서 3억 정도 사용하는 거로 알고 있고, 예전부터 관행상 이어오던 패턴이라고 보면 될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지난 2010년, 이른바 '리베이트 쌍벌제'가 도입되면서 제공하는 업체뿐 아니라 리베이트를 받는 의사도 모두 처벌 대상입니다. <br /> <br />[박호균 / 변호사 : 음성적으로 보이지 않은 방법을 통해서 계속 유지되고 있는 것 같은데, 장기적으로 봐서 없어져야 할 악습으로 봐야 합니다. 그 피해가 고스란히 국민의 의료비 증가로 이어지고….] <br /> <br />하지만 YTN의 취재 과정에서 해당 업체와 거론된 교수들은 혐의를 전면 부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[○○메디칼 관계자 : 합당하게 로열티를 판매 수량 같은 걸 계산해서 지급하는 부분은 있어도, 개인적인 부분으로 지급되는 부분은 전혀 없습니다.] <br /> <br />경찰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영업 내역과 회계 장부 등을 바탕으로 혐의를 입증할 단서를 찾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일부 의료기기의 경우, 시장 점유율 1위에 올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71819212751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